우리가 원할 때마다 느낄 수 있고 그 때 마다 카타르시스에 함몰된다면...


K. 칸트는 판단력 비판에서 이성의 보편성과 이성의 특수성이라는 프레임으로 미학을 규정한다.


그러나 미학이 뭐든

궁극적으로 예술이란 소비자에게 감동과 공감을 주는 것이라야 한다.

소비자 입장에서는 그 감동과 공감이 시공을 초월한 극대 감동이어야 할 것임은 물론이다.

   따라서 어떤 소비자가 살아내면서 취향이 바뀐다면 과거의 선택이 자신만의 고유한 빛깔과 공감도에 못미쳤다는 것과 같다.


분야별 효율성을 보자.

   인간은 단조로움에 흥미를 이내 잃는다.  화무십일홍이라 했던가.  자기최면하에 있지 않다면 눈앞에 그 어떤 미인이 있다해도 그 외형이 지속되지 않을 뿐더러 왈라스적 한계효용론에 따른 체감이 작동할 것이다. 

    그래서 단속적으로 감상할 때만 그 효용을 느끼게 되는 시간예술인 음악을 공간예술보다 나는 더 선호한다.

    고2때부터 의도적으로 발을 담근 이래 요즘은 전천후 악기로 연주하는 조수미와 셀린디옹의 노래들을 즐겨 듣는다.

         멜로디와 장단 화음 그리고 여백과 풍경을 멋드러지게 연주해내는 예술가...   질투날 정도로 부럽다.


개인적으로 우리나라 가요계를 이끄는(?) 박진영류를 탐탁치 않게 여긴다.

  발성이란 발성기관인 성대와 공명기관을 경유하며 효율적인 소통을 도모하는 하나의 기술이다. 따라서 공명기관이 아닌 부비공이나 눈두덩이 가슴같은 현실적이지 않은 공명통을 상정하는 두성이나 흉성을 입에 담기 때문이다.


      인간에게 가장 효율적이고 자연스러운 발성은 벨칸토발성이다.   이 발성의 달인으로 조수미나 셀린디옹이 있다.

            벨칸토발성기법으로 노래하는 연주자들의 작품을 감상할 때 반드시 이어폰을 끼고 듣는다. 

 

                그 때, 그 숨소리마저 감미롭다.  동양화에서 화폭에 담기는 여백이 중요한 역할을 하듯 말이다.



인간이라는 공통성은 명실공히 불후의 명작을 탄생시킨다.   

그리고 인간이라는 다양성과 개별성은 다양한 쟝르의 음악들을 좌판에 진열케 된다.


음악을 소비하려면 보다 폭넓게 섭렵한 후 자기 귀를 갖는 게 좋다고 생각한다.  그러나 유한한 우리에게

세계적인 불후의 명작이나 불세출의 연주가의 명품연주의 소비가 보다 합리적 소비 양상이 아닐까?!




'과학과 예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회적 자본  (0) 2016.03.21
Libido와 예술  (0) 2016.03.20

사회적 지원관계에 의한 이용가능 한 자원으로서의 사회적 자본


Coleman(1990)은 한 개인이 그 안에 참여함으로써 특정하게 행동하는 것을 가능하게 만들어 주는 사회구조 혹은 사회적 관계의 한 측면의  사회적 자본을 정의하였다.

Nahapiet과 Ghoshal(1998)은 개인 또는 사회적 단위가 소유한 관계의 네트워크로부터 이끌어내어 이용 가능한 실제적으로 잠재적인 자원의 합





인격장애(Personality disorder)

인격이란 한 사람의 일관되고 광범위하며 자연스러운 판단과 행동, 정서반응의 총합이다.   인격장애의 경우 인격 차원에서 문제가 되는 부분이 자신을 구성하는 본질의 일부이기에 불편하게 여기지 않고 오히려 자아에 잘 어울린다고 여긴다.  즉 자신이 타인에게 문제를 일으킨다고 생각하지도 않고, 불편해 하지도 않는다.  당연히 치료를 통해 변해야겠다는 생각도 하지 않는다는 점이 문제이다.


'과학과 예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예술과 인생 그리고 음악  (0) 2016.03.29
Libido와 예술  (0) 2016.03.20

리비도와 예술

리비도 : G. Freud의 리비도보다 G. Jung의 리비도를 지칭함


생명체가 살아가는데 에너지가 필요하다. 동물은 우주의 평균온도보다 더 높은 체온을 가진다. 

항상성(Homeostatus)을 유지하며 인간으로서의 특성을 잊은 채

그냥 살아간다는 것은


DNA의 전달 숙주로 스스로를 제공한다는 것 말고 무슨 의미가 있을까?


생명유지를 위한 에너지 확보를 위해 식자재를 흡입하고

효율적인 활동을 위해 수면이나 휴식을 취하고

에너지 소비과정에서 불필요해진 찌꺼기를 배설하고


이런 정도의 생명 활동은 생명체라면 다 하는 거다.


이런 정도의 생명활동으로 나날을 메워가는 사람들은 이성을 갖지 않은 짐승과 다름없다.


열심히 효율적으로 생명유지를 위한 수요(자본주의 사회에서의 잠재 에너지인 경제적 부)를 확보한 후

가능한 한 최대의 자유로운 시간을 확보하여 

    자유로운 시간을 자아 신장을 위해 노력을 쏟는 거다.

         동물과 다른 인간만의 독특한 기쁨 - 진리 추구와 미의 추구.


짐승처럼 살아가는 것은 스스로에게도 죄악이요,

  생명으로 태어나게 한 환경에게도 미안한 일이 아니겠는가!



짐승처럼 살다 갈 것인가?


'과학과 예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예술과 인생 그리고 음악  (0) 2016.03.29
사회적 자본  (0) 2016.03.21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