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가 복거일씨나 이문열씨에게 화가 난 것은, 내 판단과 달리, 그들의 이념때문이 아니라 인격때문일 것이다. 어쩌면 그럴지도 모른다. 그러나 그 경우에 이념과 인격을 구분하려는 노력의 실익은 현저히 줄어들 것이다

고종석 작가(이하 경칭 생략)의 칼럼에서 따온 내용이다.

얼마 전 이인직의 혈의 누의 일부가 EBS수능시험 강좌(?)에 유통되었다는 기사을 접하고 생각해 본 주제였는데 오늘 고구마 줄기를 들추다가 맞닥뜨렸다.

그래서 이 문제에 대해서 조금 더 천착해 볼까 한다.

 

오염된 작품과 오염되지 않은 작품 사이에서

이를테면 나찌에 협조한 H. 카라얀과 그가 지휘한 수다한 작품들...
                      변절한 춘원 이광수의 작품들, 이완용의 비서였던 이인직의 혈의 누 ....

 

우리가 살아가는 의미가 뭘까?  세대를 뛰어넘어 종족보존을 위해 우리 몸뚱아리가 본능에 이끌리어 DNA를 전달하는 숙주에 불과하다고 생각한다면 절대로 이 글을 읽고 있을 리가 없다.

그렇다면 본론으로 들어가자.

 

숙명으로 단순작업이 직업으로 주어진다면

  ( 단순작업인 종이를 세는 작업만 하여도 입에 풀칠하는 것이 전혀 문제없을 정도로 보수가 듬뿍 주어진다.  그리고 감정이입의 효율을 위해서 필자와 고종석을 등장시키겠다.)

 필자가 고종석에게 A4 종이 매수를 세라고 했다고 하자.   하염없이 하루 이틀 한달 일년 10년....  견뎌낼 수 있을까?
 아마 그것을 견딜 수 있는 존재는 인성아닌 신성의 그 무엇,  즉 유한성을 초월한 존재자라야 견뎌낼 수 있을 것이다.

 인간이라면 그 누구든 귀한 존재요, 유한한 존재이다.  고종석에게 여생 중에 남은 시간이 겨우 독서할 수 있는 하루라는 시간뿐이라고 가정하자.   흠결있는 책과 하자없는 책 중 무엇을 소비할까?

 

 

유한성(동적으로 효율성)

 

적어도 합리적 사고가 가능하다면 해답은 빤하다.  유한성은 실존적 인간이 살아내며 항상 염두에 굴리는 화두이다.  인지적 구두쇠, 단순한 일의 기계화, 무미건조한 단조로운 일의 기피, 조금 더 신선한 뭔가의 갈구.. 이러한 경향은 모두 유한성을 배경으로 한다.

그리고 유한성(stock)을 뒤집어 동적(flow)으로 파악하게 되면 곧 효율성으로 표현할 수 있다.

유한하니까 효율을 추구하고 효율추구는 곧 인간세계의 역사적인 굵직하고 면면한 노선이기도 했다.  대표적으로 이른바 산업혁명의 배경엔 효울성의 추구라는 도구의 발전이 개입돼 있다.  이 효율 추구는 그 시야만 다를 뿐 어느 시대이든 그 누구든 추구하는 하나의 이념으로서 보편성을 갖는다.

따라서 효율적인 사회가 이상적인 사회이다.  비효율이 횡행하는 사회는 곧 비합리적인 사회이고 아직 개선의 여지가 있는 불완전한 사회이다. 

예를 들어 오늘날의 근시안적 경쟁을 조장하는 자본주의보다 거시적인 광역적인 완전한 정보를 토대로 하는 자본주의라야 이상적 자본주의가 되는 것이다.  (자본주의의 한계에 대해서는 주제가 벗어나므로 약함) 왜냐하면 자원의 비효율성을 낳고 있다는 혐의를 오늘의 자본주의에 줄 수 있기 때문이다.

 

 

시간을 그리 쪼개써야 하는 이유

 

굳이 유한성이나 효율성을 염두에 둬야 하냐고 반문할 수 있다.  그렇다.  짐승과 달리 인간은 먹고사는 리비도(Libido : Freud가 아닌 Jung)가 해결되면 그 후로 동물과 달리 미를 추구할 여지가 있기 때문이다.

 

 

자아정체성의 확장

 

자아정체성을 확장해 보자.  우리 모두는 물리적인 공간상에 배타적 공간을 점유하고 있다.  즉 유일무이하다.  게다가 시간적 궤적을 겹쳐 파악하면 각자의 존재는 절대 겹칠 수 없는 독특한 좌표(바코드라 해도 좋다)를 지닌다.  그 누구도 표준이 될 수 없는 절대적 표준들이 수다하게 널린 상대적 세상이 될 것이다.  그리하여 우리는 모두 평등하다는 인식에 내몰린다.

 

이로부터 우리는 거창한 자연법 혹은 신앙, 관습을 배제하고서도 모든 사회규범을 도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장애우들의 경우, 그들은 평균보통인 - 장애를 갖지 않은 - 들의 기준으로 형성된 시스템하-사회적 효울이라는 미명하에-에서 수용을 강제당하며 살아내고 있다.  그러므로 장애우들을 위한 정부지원은 그들의 희생에 대한 보상(권리에 대한 대가)이지 은혜가 될 수 없다.  우리 정상인들은 장애우들에게 한 풀 꺾이는 빚쟁이인 것이다.  그런데 이 입장의 전환이란 생각할 수 있는 존재들임에도 전혀 쉽지 않다. 

 

유한성을 염두에 둘 때,  우리는 공공재(경제학적 개념이 아님)인 경제적 자원이나 개개인의 시간이나 소중하지 않은 게 없다.  따라서 책을 사회에 유통시키려는 작가는 작가로서의 소명의식을 가져야 한다.  - 글 솜씨가 없는 필자가 이 글을 써서 독자의 귀중한 시간을 빼앗는다면 유한한 독자의 귀중한 시간을 소모케 하는 죄악이다 -

 

따라서 적어도 보편적 이성에 미달하는 즉 함량미달인 작품이 세상에 유통되어 누군가의 시간을 낭비케 한다면 저승에 가서 천벌을 받아야 한다.  (좀 극단적이고 과격한 표현인가?  : ) )

 

같은 맥락에서 정치에서의 인물의 인품과 이념간의 괴리가 있을 때도 마찬가지이다.

아니 정치지형에서의 인물의 평가는 더 엄혹해야 한다. 왜냐하면 다수의 이해관계가 얽혀 비효율적인 이념을 추종하는 날엔 공동체의 절대이념과 상치되는 결과를 초래할 것이기 때문이다.

 

 

결론

 

 유한성과 효율성을 추구하는 우리들은 오염된 책과 그렇지 않은 책들간의 선택의 여지가 있을 때는 오염된 책을 소비하지 않아야 한다.  그렇게 한다면 그런 괴리된 작품이 곧 시장에서 사라질 것이다.  그래서야 우리는 간혹 있을 수 있는 누군가의 무의미한 시간 소모를 차단할 수 있다.


불가피하게 오염된 책에서 필요한 부분이 있을 때는 - 사실 없을 것이지만 - 합리성과 배치된다는 것을 명시하고 한정적으로만 소비해야 할 것이다.

'철학과 문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삶과 사유  (0) 2017.05.28
11  (0) 2016.03.26
석가모니도 고독하지 아니할까!  (0) 2016.03.23
한국 지역주의와 정체성의 정치  (0) 2016.03.23
인간은 선한가 악한가?  (0) 2016.03.20

자아의 확장

시간적 확장 : 과거의 나(기억, 조상) - 현재의 나 - 미래의 나(기대, 후손)

공간적 확장 : 나-> 우리-> 민족 -> 인류 -> 생명



불공정한 경쟁의 룰이 장착된 사회를 방치하는 것은 자신을 사랑하지 않는 자다.

왜냐하면 '나'들이 서로 경쟁하는데 누구에게 족쇄차고 뛰라거나 자전거타고 편히 가라거나 하는 것이 공정한 경쟁일 수 없기 때문이다.

일시적으로 내가 자전거에 올라탔다고 하더라도 어느 순간 내가 족쇄차고 뛸 경우도 있다.  이것 때문에 공정한 경쟁이어야 한다는 얘기가 아니다.

이런 동기가 공정한 경쟁을 주장하는 배경이라면 누군가가 난 시행착오로 스스로 겪은 다음 대답해 줄게라고 해도 할 수 없을 것이다.


어떤 지위를 영속적으로 고수할 수 없다는 사실이 동기가 되지 않고도 우리는 각자가 견줄 바 없이 유일무이한 존재들이라는 것으로부터

누가 우대받거나 누가 천대받는 것 자체가 잘못임을 알아야 한다.


인간이 평등하다는 것,  이렇게 지극히 간단한데도 그것을 발견한지가 겨우 250년도 되지 않았다.

그리고 그것이 귀중한 교훈임에도 오늘을 살아가는 우리들에게 자동 장착돼 있지도 않아서 선민의식이나 열등감에 빠져 삶을 살아가는 존재가 적지 않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