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가 원할 때마다 느낄 수 있고 그 때 마다 카타르시스에 함몰된다면...


K. 칸트는 판단력 비판에서 이성의 보편성과 이성의 특수성이라는 프레임으로 미학을 규정한다.


그러나 미학이 뭐든

궁극적으로 예술이란 소비자에게 감동과 공감을 주는 것이라야 한다.

소비자 입장에서는 그 감동과 공감이 시공을 초월한 극대 감동이어야 할 것임은 물론이다.

   따라서 어떤 소비자가 살아내면서 취향이 바뀐다면 과거의 선택이 자신만의 고유한 빛깔과 공감도에 못미쳤다는 것과 같다.


분야별 효율성을 보자.

   인간은 단조로움에 흥미를 이내 잃는다.  화무십일홍이라 했던가.  자기최면하에 있지 않다면 눈앞에 그 어떤 미인이 있다해도 그 외형이 지속되지 않을 뿐더러 왈라스적 한계효용론에 따른 체감이 작동할 것이다. 

    그래서 단속적으로 감상할 때만 그 효용을 느끼게 되는 시간예술인 음악을 공간예술보다 나는 더 선호한다.

    고2때부터 의도적으로 발을 담근 이래 요즘은 전천후 악기로 연주하는 조수미와 셀린디옹의 노래들을 즐겨 듣는다.

         멜로디와 장단 화음 그리고 여백과 풍경을 멋드러지게 연주해내는 예술가...   질투날 정도로 부럽다.


개인적으로 우리나라 가요계를 이끄는(?) 박진영류를 탐탁치 않게 여긴다.

  발성이란 발성기관인 성대와 공명기관을 경유하며 효율적인 소통을 도모하는 하나의 기술이다. 따라서 공명기관이 아닌 부비공이나 눈두덩이 가슴같은 현실적이지 않은 공명통을 상정하는 두성이나 흉성을 입에 담기 때문이다.


      인간에게 가장 효율적이고 자연스러운 발성은 벨칸토발성이다.   이 발성의 달인으로 조수미나 셀린디옹이 있다.

            벨칸토발성기법으로 노래하는 연주자들의 작품을 감상할 때 반드시 이어폰을 끼고 듣는다. 

 

                그 때, 그 숨소리마저 감미롭다.  동양화에서 화폭에 담기는 여백이 중요한 역할을 하듯 말이다.



인간이라는 공통성은 명실공히 불후의 명작을 탄생시킨다.   

그리고 인간이라는 다양성과 개별성은 다양한 쟝르의 음악들을 좌판에 진열케 된다.


음악을 소비하려면 보다 폭넓게 섭렵한 후 자기 귀를 갖는 게 좋다고 생각한다.  그러나 유한한 우리에게

세계적인 불후의 명작이나 불세출의 연주가의 명품연주의 소비가 보다 합리적 소비 양상이 아닐까?!




'과학과 예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회적 자본  (0) 2016.03.21
Libido와 예술  (0) 2016.03.20
요즘 고독이 유행처럼 만연해 있다.


짝을 찾지 못해 고독하고,

주변에 사람이 없어 외로워 고독이고


이혼해서 고독하고

옆에 있어도 고독하고

여럿 속에서도 고독하고...


그러나 철학적 고독은 이런 세속적 고독이 아니다.



시간을 초월하고

공간을 초월하여

과거의 소크라테스, 미래의 미륵불과

오늘의 나 사이에  아무런 공유할 연결고리가 없다는 것...  이것이 진정한 고독이다.



마르크스는 어떨까?  마르크스는 자본론을 안출하며 저술할 때 행복했을 것이다.

자신의 생각이 인간세상을 구하고 역사의 궁극원리를 규명해 냈다고 확신했을 테니까 말이다.



그러나,  결과는 어떤가.  

그의 의도와는 반대로 기하의 인민들과 더 효율적으로 소모됐을 자원들이 공산주의 체제하에서 희생되고 소모되었다. 


그가 확신했던 보편적 가치라 믿었던 과학적 사회주의가 한갓 오류투성이의 망상이었음이 드러났기 때문이다. 


그래서 마르크스는 진정 고독한 존재가 되었을 것이다.  신이 있다면 저승에서 엄청난 벌을 받고 있지 않을까?




I. 칸트의 순수이성 비판은 이를테면 유한성의 극히 일부만 건드렸다.

                실천이성비판은 동적 효율성이라는 극히 부분적인 타당성만을 간파한 내용이다.


따라서 칸트도 참 외롭고 고독할 것이다.



세상의 본질을 극단적으로 비관한 석가도 외로울 것이고

이슬람의 저항운동을 보건대 예수도 매우 고독할 것이다.




생각해 보자.


진정한 고독이란 이렇게 보편적 진리에 발을 담그지 않아 영겁의 세월 속에서 감수해야 할 소통단절의 상태일 것이다.

유일무이하게 주어진 삶을 영겁의 시간속에서 공유할 수 있는 연결고리가 없이 마감하고 결코 끝나지 않을 영겁의 영원속에서

처절하게 고독을 만끽할 것인가?


그래서 유한한 우리는 자신을 날마다 초월하여 진리를 구하며, 삶을 허비하지 않아야 한다.

'철학과 문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삶과 사유  (0) 2017.05.28
11  (0) 2016.03.26
한국 지역주의와 정체성의 정치  (0) 2016.03.23
인간은 선한가 악한가?  (0) 2016.03.20
남의 일이 아니다.  (0) 2016.03.19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