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욱 서남대 교수

- "영남인들이 폭압적인 정치권력을 통해 호남인들을 차별·배제하는 전략으로 전국적 규모의 경제적 지배 관계를 확대 재생산하고 이러한 지역적 지배 관계에 대해 사회·문화적인 차원에서 은밀하게 이데올로기적 동의를 얻어내는 극우 헤게모니“

 

 


활강 이경렬

영남패권이데올로기는 영남출신이라는 요소 하나만으로 그들이 기득권을 쉽게 누릴 수 있도록 <불공정 경쟁 조건>을 짜놓은 체제이며, 또한 그 체제가 잘못된 것이라는 비판력조차 말살해버리는 새로운 가치체계까지를 생산해낸 <이데올로기>이다. 

  영남패권이데올로기는 그 사람의 영남출신 여부와 전혀 상관없이 아무 지역 출신이더라도, 그가 {예컨대 정치 권력층, 정부 관료, 행정부 고위층, 사법부 종사자(특히 변호사), 전체 공무원, 재벌, 대기업 임원, 기업가, (한)의사, 경제적 기득권층, 은행과 금융기관 임원, 정당인, 언론사(신문사, 방송사, 유수잡지사) 사주, 편집진, 기자군, 방송국 임원, 드라마피디, 시사교양연예피디, 작가(소설, 드라마, 교양물) 대중음악인, 고수입 연예인, 고전음악 영화 연극 공연 미술 등 단체의 리더그룹, 시민단체 리더그룹, 노동계 리더그룹, 기독교 신교와 구교 지도부, 신부, 목사, 각 종파 원로, 사학재단 이사진, 모든 대학교수군, 사회과학, 자연과학, 테크날러지 등의 연구직 종사자, 초중고교 임원과 보직교사 등} 현재 대한민국 사회 체제를 견고히 떠받들고 있는, 즉 서민과 기층민을 제외한 사람으로서 이 사회의 안정과 질서 유지에 실질적 리더 혹은 오피니언 리더로서 일반 서민보다 더 큰 기여를 하고 있다고 공히 인정받고 있다면, 그 사람들 개개인은 자신의 의지와 상관없이 그 지위로 말미암아 이 영남이데올로기 체제 속에서 그만큼 덕을 봐왔던 자이며, 영남패권이데올로기란 체제가 대한민국에서 원활하게 작동하도록 '부지런히' 기여해온 사람이라고 말할 수 있는 것이다.  


 

(우선 생리적 계급장이나 사회적 계급장을 떼고 얘기한다는 점을 미리 밝힌다.)


진리를 탐구하는 학문이 보편성을 결하면 이미 학문이 아니다.

정치학을 제자들에게 가르치고 한국정치를 견인하겠다는 웅대한 포부를 가졌다면 적어도 실효성을 가져야만 할 것이다.


그런데 손호철(최장집도 마찬가지) 은 

낯부끄러운 줄 모른다.


스스로의 인식지평이 얼마나 문제있는 지를 자각하지 못한다는 것이다. 한국 좌파들의 긍정적인 전환을 기대하는 필자로서는 그 인식지평의 문제점을 지적하지 않을 수 없다.



다양성(개별성, 특수성)


최장집이나 손호철이나 필자가 다른 생각, 다른 성장환경, 다른 지식, 다른 경험을 가졌듯 

특정 물리적 공간을 점유하고 살아내는 존재들은 이미 특정 물리적 공간(지역)과 얽혀 매우 독창적인 경험을 하게 되고 성격과 사회적 태도가 형성된다.


보편성

그럼에도 생각할 수 있다는 능력을 가진 인간이라는 공통된 특성의 보편성을 가진다. 또한 물리적 공간을 배타적으로 점유하고 있다는 특성도 공유한다.


글로벌 스탠더드?를  손호철은 좋아한다.  포스트모던이즘이 있니 없니 이런거 따지기 전에

그래서 리영희의 '새는 좌우로 난다'라는 구호를 들먹이며 한국사회도 좌우로 날아야 한다고 외친다.

손호철의 눈엔 이 세상의 정치지형이 오로지 손호철 손에 쥐어진 좌우(진보 VS. 보수)로만 배열되어야 한다는 발상을 하고 있다.

   아니 그게 가능하다면 뭐하러 두꺼운 소통채널인 공적 공간을 소비할까?  차라리 사회더러 알아서 정렬하여 내 좌우(빵틀)에 들어가 앉으시지!라고 주문을 외우면 될게 아닌가?!


학문이란 곧 인간생활에 있어서의 일정한 수요를 감당하기 위해 존재하는 것이다.

그래서 학문에서 보편성을 확보하는 것은 쉽지 않다.  한국의 정치지형은 보편적인 좌우구도의 정치지형으로 파악되지 않는다.



보편성을 잃은 한국의 정치지형


그렇다면 인간사회의 보편성을 뒤흔들고 있는 한국사회의 독특한 정치지형의 원인이 무엇이고 그것을 해소할 수 있는지, 혹은 손호철식 글로벌 스탠더드가 일반적 도구가 아닌 특수한 도구이고 오히려 한국사회의 독특한 정치지형이 일반적인지를 가려내야 학자적 자질이 있고 학자로서의 자세일 것이다.

그러나 손호철은 최장집에 비해 엉터리다.  실천적 학문을 거론하고 있지만 천박한 학문적 기초로 인해 혐오스럽기 까지 하다.


결국 먹물있는 책상맡에 앉아 진지한 성찰을 결한 채  유학가서(?) 배운 거,  그것을 우려먹고 있는 것이다.




손호철의 꿈 - 오로지 진보정당의 융성


왜 그런 학문적 자세가 되었을까?  손호철의 자아준거는 오직 (사이비)진보정당의 융성에 맞춰져 있다. 그리하여 좌우가 경쟁하여 사회적 질을 제고하는 것이 이상적인 정치지형이라는 거다.

그러나 그러한 이상적인 정치지형을 꿈꾼다면 왜 한국사회의 정치지형이 글로벌스탠더드에 귀납되지 않고 지지부진하며 반세기를 훌쩍 넘어가는가를 진지하게 성찰해야 되지 않을까?  필자가 정치학자라면 정말 날밤을 새우며 그 원인규명과 해결가능 여부 해법에 대해서 이미 끝장을 봤을 것이다.

그러나 아쉽게도 손호철은  유물사관이라는 더러워진 필터를 낀 눈을 갖고 있는 듯 싶다.  인본주의자 K.마르크스의 유물사관이 손호철에게 정상적으로 탑재되어 한국의 정치지형을 인식한 것이 이른바 지역주의 양비론이라면, 난 주저없이 마르크스를 저주하겠다.  그게 아니고 장착과정에서 잘못된 것이라면, 손호철은 마르크스를 더 이상 욕되게 하지 마라.


정말 손호철이 진보정당의 융성을 바라기는 할까?  그렇다면 지지기반의 외연 확장을 생각해야 하는데 가장 손쉬운 방법이 지역주의에 대한 올바른 분석과 해법을 강구하고 그것을 실천하는 것이다. 결국 한국좌파의 발목을 잡아 희미한 존재감에 머물게 하는 직접적인 장애는 손호철류의 사이비 진보 좌파, 강단좌파의 탓이다.  그렇지 않다면 왜 외연확장의 근본적인 방법을 외면한단 말인가? 


이른바 좌파정당인 정의당을 지지하는 유권자들은 진지하게 생각해 봐야 한다.  정말 좌파정당을 지지하는 것이 소외계층을 위하는 것이고 사회양극화를 해소할 수 있는 최선의 선택일까?


손호철이 읽어야 할 책 - 김욱의 '아주 낯선 상식', 활강의 '시대정신과 반영남패권이데올로기'


손호철은 일반적인 상식이 부족하다. 즉, 근대이성의 객관화인 우리들의 일반의지인 헌법을 제대로 이해하지 못하거나 숙지하지 못하거나 상식이 제대로 정립되지 않은 상태이다.

어떻게 해서 대학교수가 평균적인 사회인이 갖춰야 할 상식마저 장착하지 못했을까?  진정 궁금해진다.  손호철의 영혼이 불쌍할 뿐이다.


위의 권장도서 중 활강의 시대정신과 반영남패권이데올로기(->다운) 책이다.  이 책을 링크한다.


+ Recent posts